현재상황
프로젝트를 세팅을 하고 .gitignore 파일을 추가하여 원격 저장소로 push를 했는데, 모르고 application.properties설정파일 민감한 정보들까지 깃허브에 올렸다.
기존에 있는 레포를 삭제하고 다시 추가하여 레포에 올려두 되지만, 깃을 잘 사용하기 위해서 다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봤다.
처리 순서
- 원격 저장소에서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삭제
- 내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저장소에 잘못 올라간 파일을 삭제함을 선언
- .gitignore에 올리지 않을 파일 저장
- 원격 저장소 pull
- 내 로컬 저장소의 내용 add, commit
- 원격 저장소에 최종 push
원격 저장소에 해당 파일 삭제
github에 삭제하려는 파일에 들어가서 빨간박스에 표시된 삭제 버튼을 눌러 삭제를 진행한다.
내 로컬 저장소에서, 원격저장소에 잘못 올라간 파일을 삭제함을 선언
프로젝트내에서 git 터미널을 키고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한다
// 원격 저장소 및 로컬 저장소의 파일을 삭제합니다.
$ git rm -r [File Name]
// 원격 저장소에 있는 파일만 삭제합니다.(로컬 저장소의 파일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 git rm --cached -r [File Name]
.gitignore에 올리지 않을 파일 저장
프로젝트내에 있는 .gitignore 파일에 application.properties 경로를 적어준다.
원격 저장소 pull
github도 현재 application.properties가 삭제되어 변화가 일어난 상태이므로 pull을 먼저 하여야한다.
그렇지 않고 로컬의 내용을 먼저 push 할 경우 conflict 에러가 발생하고 push가 되지 않는다.
내 로컬 저장소의 내용 add, commit
프로젝트내에서 git 터 미널을 키고 아래의 명령어를 차례로 실행한다
git add .
git commit -m '커밋 메모'
원격 저장소에 최종 push
최종적으로 내 로컬의 내용을 remote repository에 반영하여
내 로컬과 remote repository를 일치시킴.
git push origin main
https://zzang9ha.tistory.com/m/359
[Git/GitHub] - GitHub에 잘못 올라간 파일 제거하기(.gitignore)
📎 GitHub에 잘못 올라간 파일 제거하고 .gitignore에 추가하기 저는 평소에 작업을 하다가 실수로 불필요한 파일까지 GitHub에 올린 경우가 있었습니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존재합니다.
zzang9ha.tistory.com
https://januaryman.tistory.com/534
Git 원격 저장소에 올라간 파일을 삭제하고 앞으로 올리지 않는 법
원격 저장소에 간혹 잘못 올라간 파일이 있다. 이럴 경우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아래의 내용은 불필요한 과정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결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이다. 잘
januaryman.tistory.com
'Develop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HTTP 메서드 PUT,PATCH 차이점 및 종류 (0) | 2025.02.15 |
---|---|
[Web]Servlet&JSP, Model1/Model2방식 차이와 스프링MVC (1) | 2025.01.22 |
JAR/WAR? 차이 / 빌드 와 배포 개념 (0) | 2024.09.01 |
Web Server 와 WAS 차이와 웹 서비스 구조 (0) | 2024.02.18 |
쿠키 와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처리 (0)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