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문자열 Encoding이란? 아스키코드,유니코드, UTF-8 개념정리
·
Develop/CS
💻인코딩, 디코딩 이란?-> 인코딩이란 어떠한 정보를 ,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컴퓨터에서 문자를 저장,연산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이해할수있는  즉 바이너코드 0과 1로  변환해주는 작업을 인코딩, 그반대로 바이너리코드를 사람이 이해할수있는 작업을 디코딩이라한다. 그렇다면  컴퓨터가 0과 1로 연산하기 위해 데이터를 인코딩한다면, 값에 맞게 매핑하는 기준이 있어야 할 텐데 기준이 뭘까?그게 바로 최초로 탄생한 ASCII 테이블이다.  아스키 코드는 처음으로 표준을 정의한 문자열 인코딩 방식이다. 0~127까지 대응되는 문자를 숫자로 표현한다.하지만, 각나라에서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한글,중국어,일본등 다양한 문자집합과 인코딩방식이 필요했음. ECU-KR 탄생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CS] HTTP 메서드 PUT,PATCH 차이점 및 종류
·
Develop/CS
🌍HTTP 메서드란?  Http 메서드를 사용해 서버가 수행해야할 동작을 지정해 요청을 을 보내는 방법.  HTTP 주요 메서드 종류 (1) GET  -  리소스를 조회 할떄 사용한다. (2) POST  - 클라이언트의 요청 데이터를 처리할떄 주로 사용되고, 신규 리소스를 등록할떄 사용한다. (3) PUT 과 PATHC 차이    -  PUT :  리소스의 모든것을 업데이트 한다. - PATCH :  리소스의 일부를 업데이트 한다. (4) DELETE -  리소스 삭제   PUT과 PATCH가 뭐가 다른지 몰라서 차이점을 정리했다.   PUT 예시)회원 (member)1이름 (name)애용이나이 (age)10성별 (gender)M 1번 회원의 회원정보를 수정하는 요청을 보내면  PUT /members/..
[Web]Servlet&JSP, Model1/Model2방식 차이와 스프링MVC
·
Develop/CS
- 초창기  웹서비스는  사용자 요청이 오면 html 이라는 정적인 파일만 주고받기 시작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웹이 발.전하고 웹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다 보니 동적으로 웹페이지를 만드는 기술들도 발전하기 시작했다. Servlet이란?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간단히 말해서, 서블릿이란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 그런데 좀더 들어가서 설명하면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이다.  Servlet동작 방식  Servlet  문제점하지만 서블릿 단점으로 java 코드안에 html이 삽임됨으로 , html 코드를 ..
Web Server 와 WAS 차이와 웹 서비스 구조
·
Develop/CS
Web Server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드리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쉽게 말해서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요청을하면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 HTML 문서, CSS,JavaScript,이미지,파일 ) 등 즉시 응답가능한 컨텐츠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해 WAS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고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프록시 역할도 수행)대표적인 웹 서버는 Apache, Nginx, ISS 등이 있다. WAS(Web Application Server) ?  WAS의 주요 임무는 동적인 요청을 받아 처리해주는 서버이다.    효율적인 사용WebServer가 할수있는일을 WAS는 다할수있는..
쿠키 와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처리
·
Develop/CS
HTTP(상태 비저장 프로토콜)는 요청을 보낼떄마다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매번 확인해야하는 특성을 보안하기 위해 쿠키 와 세션을 사용한다.  쿠키,세션?둘다 웹에서 사용되고, 뭔가를 저장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개발자는 웹을 만들 떄 , 어떤 정보를 쿠키에 저장할지 세션에 저장할지 잘 판단을 해여한다. 🍪쿠키란?쿠키는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중 하나입니다. 쿠키란 비유하자면 => 찜질방 손목열쇠. 시설을 이용할떄마다 보여줘야된다.단, 단점으로는 내 브라우저에 저장됨으로써  해킹,조작 등등 쉽게 노출될수  있기떄문에 민감한 정보는 쿠키에 저장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서 간단한 정보들을 브라우저에 저장할떄 사용된다=> 로그인시 아이디 자동완성, 로그인 없이 쇼핑몰 장바구니 등의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