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Server 와 WAS 차이와 웹 서비스 구조

2024. 2. 18. 11:11·Develop/CS

Web Server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드리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쉽게 말해서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요청을하면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 HTML 문서, CSS,JavaScript,이미지,파일 ) 등 즉시 응답가능한 컨텐츠

  • 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해 WAS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고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프록시 역할도 수행)
  • 대표적인 웹 서버는 Apache, Nginx, ISS 등이 있다.

 

WAS(Web Application Server) ? 

 

WAS의 주요 임무는 동적인 요청을 받아 처리해주는 서버이다.

 

Web Server / WAS

 

 

 

효율적인 사용

WebServer가 할수있는일을 WAS는 다할수있는데 왜 WEB서버와 WAS를 따로 두는걸까??

 

WAS는 DB조회 및 다양한 로직을 처리하는데 집중을 해야한다.

따라서 단순한 정적 콘텐츠는 웹 서버에게 맡기며 기능을 분리해 서버 부하를 방지해야한다.

 

 

 

 

 

Web Service Architecture 

웹 어플리케이션은 요청 처리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 클라이언트 - > WebServer-> DB
  • 클라이언트 -> WAS - > DB
  • 클라이언트 -> WebServer -> WAS -> DB

 

 

 

 

클라이언트 -> WebServer - WAS ->DB 구조의 웹 서비스 로직 과정

 

1. Web Server는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로 부터 HTTP 요청을 받는다.

2. Web Server는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을 WAS에 보낸다.

3. WAS는 관련된 Servlet을 메모리에 올린다.

4. WAS는 web.xml을 참조하여 해당 Servlet에 대한 Thread를 생성한다(Thread Pool이용)

5.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하여 Servlet에 전달한다.

5-1. Thread는 Servlet의 service()를 메서드를 호출한다.

5-2. service() 메서드는 요청에 맞게 doGet() 또는 doPost() 메서드를 호출한다.

6. protected doGet( 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7. doGet()또는 doPost() 메서드는 인자에 맞게 생성된 적절한 동적 페이지를 Response 객체에 담아 WAS에 전달한다.

8.Was는 Response 객체를 HttpResponse 형태로 바꾸어 WebServer에 전달한다.

9. 생성된 Thread를 종료하고 ,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eltResponse 객체를 제거한다.

 

 

Tomcat이 아닌 Apache Tomcat ?

정적인 컨텐츠를 처리하는 웹  서버에는 Apache가 있고, 동적 컨텐츠를 처리하는 WAS서버는 Tomcat이 있는데 Tomcat은 Apache Tomcat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사용되어 혼란스러울 것이다. 붙여서 쓰는 이유는 2008년 릴리즈 된 Tomcat 5,5 버전부터 정적 컨텐츠를 처리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 이기능이 순수 Apache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성능적 차이가 전혀 없어며 Tomcat이 Apache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떄문에 Apahce Tomcat이라고 부르고 있다.

 

 

 

 

 

 

 

참고

 

https://gmlwjd9405.github.io/2018/10/27/webserver-vs-was.html

https://story.pxd.co.kr/1647

https://gmlwjd9405.github.io/2018/10/27/webserver-vs-was.html

'Develop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 문자열 Encoding이란? 아스키코드,유니코드, UTF-8 개념정리  (0) 2025.02.17
[CS] HTTP 메서드 PUT,PATCH 차이점 및 종류  (0) 2025.02.15
[Web]Servlet&JSP, Model1/Model2방식 차이와 스프링MVC  (1) 2025.01.22
쿠키 와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처리  (0) 2024.02.17
'Develop/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 문자열 Encoding이란? 아스키코드,유니코드, UTF-8 개념정리
  • [CS] HTTP 메서드 PUT,PATCH 차이점 및 종류
  • [Web]Servlet&JSP, Model1/Model2방식 차이와 스프링MVC
  • 쿠키 와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처리
dev_m.w
dev_m.w
BE 개발자의 공부기록✨
  • dev_m.w
    DEV.BLOG
    dev_m.w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4)
      • Develop (20)
        • Java (5)
        • Spring (8)
        • Git (1)
        • CS (5)
        • etc (1)
      • 토이 프로젝트 (4)
        • 게시판 만들기 문제 해결 (4)
  • 블로그 메뉴

    • 홈
    • 깃허브
    • 글쓰기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Java #HashMap #Collection
    자바 #지네릭스
    Thread # 자바 쓰레드 #자바 #자바의 정석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dev_m.w
Web Server 와 WAS 차이와 웹 서비스 구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