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23 [Spirng] Spring MVC 프로젝트 폴더 구조와 실행 순서 and DispatcherServlet 소스 분석 Spring MVC란? Model, View, Controller구조인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비지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각자 개발에 집중 할수 있게 되었다 Model : 데이터를 처리를 담당 하는 영역 (Service와 DAO,DTO)역역으로 나눔. -> Model 에서는 view와 Controller 어떠한 정보도 가지고 있어서는 안 된다. View: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이다. -> Model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저장해서는 안되고, Model,Controller 구성 요소를 알아서 안 된다. Controller: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Model과 View를 중개하는 역활을 한다. Spring MVC는 서블릿 기반으로 동작하고 서블릿 이란 웹.. 2024. 2. 20. [Spirng] 스프링 @ExceptionHandler와 @ControllerAdvice 사용해 예외처리 방법 and @ResponseStatus 예외처리를 잘해주어야 비정상적인 종료를 막을수있고 ,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수있다.스프링에서는 예외처리를 해주는 방법이 여러가지있다. 각 상황에 맞게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예외처리 방법을 잘사용해야한다. 🔰@ExceptionHandler로 예외처리 하는 방법 @Controllerpublic class ExceptionController { @ExceptionHandler(NullPointerException.class) ////처리할 예외 종류를 작성하고 @ExceptionHandler 에노테이션을 붙여준다. public String catcher2(Exception ex , Model m , HttepServelRequest requset) { // request.setAttribute(.. 2024. 2. 19. Web Server 와 WAS 차이와 웹 서비스 구조 Web Server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드리고 HTML 문서와 같은 웹 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쉽게 말해서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페이지 요청을하면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 HTML 문서, CSS,JavaScript,이미지,파일 ) 등 즉시 응답가능한 컨텐츠동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해 WAS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하고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프록시 역할도 수행)대표적인 웹 서버는 Apache, Nginx, ISS 등이 있다. WAS(Web Application Server) ? WAS의 주요 임무는 동적인 요청을 받아 처리해주는 서버이다. 효율적인 사용WebServer가 할수있는일을 WAS는 다할수있는.. 2024. 2. 18. 쿠키 와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처리 HTTP(상태 비저장 프로토콜)는 요청을 보낼떄마다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매번 확인해야하는 특성을 보안하기 위해 쿠키 와 세션을 사용한다. 쿠키,세션?둘다 웹에서 사용되고, 뭔가를 저장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개발자는 웹을 만들 떄 , 어떤 정보를 쿠키에 저장할지 세션에 저장할지 잘 판단을 해여한다. 🍪쿠키란?쿠키는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중 하나입니다. 쿠키란 비유하자면 => 찜질방 손목열쇠. 시설을 이용할떄마다 보여줘야된다.단, 단점으로는 내 브라우저에 저장됨으로써 해킹,조작 등등 쉽게 노출될수 있기떄문에 민감한 정보는 쿠키에 저장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서 간단한 정보들을 브라우저에 저장할떄 사용된다=> 로그인시 아이디 자동완성, 로그인 없이 쇼핑몰 장바구니 등의 정보 .. 2024. 2. 17. [Java ] 컬렉션 프레임워크 map 이해하기 HashMap이란?HashMap' 은 키(Key)와 값(value)쌍을 저장하는 자료 구조이다.각 키는 고유하며, 키를 사용하여 해당하는 값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해싱 (Hashing) :'HashMap'의 핵심 원리이다.'해싱 함수(Hashing Functoin)'는 키(key)를 받아서정수값인 '해시코드(Hashcode)'를 반환하고,반환된 해시코드는 Hash 배열의 각 요소인 '버킷(Bucket)'의 인덱스가 된다.이 예시에서도 보이듯이 배열의 각 요소를 '버킷'이라고 한다.요약하면,키(key)를 주면 해싱 함수에 의해 해시코드로 변환되고, 해당 해시코드는 배열의 각 요소인. 버킷의 인덱스 역할을 한다. 해당 버킷을 찾아가면 값을 삽입 및 조회할 수 있다.🌠HashMap 사용해서 예제코드 만들어.. 2024. 1. 27. 이전 1 2 3 다음